
식품업, 요식업 등에 종사한다면 필수적인 보건증!
불특정다수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직종이기에 신체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증명은 필수입니다.
보건증의 정식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로 가까운 보건소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보건증을 발급 받으려면 검사했던 병원에 재방문 하거나
보건소를 직접 찾아가야만 해서 상당히 번거로웠는데요.
요즘은 방문 없이 5분 만에 집에서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신청 할 수 있다고 하니
오늘 포스팅 참고하셔서 빠르고 간단하게 보건증을 발급 받으시길 바랍니다.
보건증 검사 방법과 준비물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학생증)과 검사 비용 3000원(현금 또는 카드)을 준비하여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합니다.
타 의료기관에서 검사하는 경우에는 1만원~2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는 점 참고 바랍니다.
보건증 검사 항목
1) 육안 문진
주로 전염성이 있는 피부병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육안 검진입니다.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진행됩니다.
2) 흉부 X-RAY
결핵 보균자를 가려내기 위한 검사입니다.
결핵은 공기 중으로 전파가 가능하기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3) 변 검사
장티푸스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장티푸스 역시 심각한 전염병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검사 방법은 항문에 면봉을 3센티 정도 넣었다 빼주면 되는데요,
만약 어렵다면 항문 주변을 살살 긁는 방법으로도 가능합니다.
*유흥업소 종사자라면 위의 검사 이외에도 성병이나 에이즈 검사 등의 추가검사가 요구되는 점 확인 바랍니다.
보건증 검사 결과
검진 7일 이내 검사 결과가 나옵니다.
결과에 이상이 없을 경우 바로 발급이 가능하지만 만약 이상소견이 발견 되었을 시
상급 병원에서 재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재검사 후 오진으로 판명되거나 진단 받은 질병이 완치되었다는 전문의 소견이
반드시 있어야만 최종 발급이 가능합니다.
보건증 발급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시어 관할 보건소로 가시면 됩니다.
우편으로 받아보거나 동네 주민센터의 무인 발급기도 가능합니다.
집에서 온라인으로도 간단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부24 또는 e 보건소 공공보건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이라고
검색하신 후 건강진단 결과서를 클릭하면 됩니다.
결과지는 PDF 파일 다운로드와 바로 출력 모두 가능합니다.
만약 보건소가 아닌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분들이라면 온라인 발급이 불가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업종에 따라 기간의 차이는 있지만 유효기간은 보통은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식품업 및 요식업 종사자는 1년
학교 급식 종사자는 6개월
유흥업소 종사자는 3개월 입니다
건강증명서는 일반적으로 매년 갱신해야 합니다.
기간이 만료되었다면 재발급은 불가능하며
갱신 시에는 새로운 건강검진을 받고 처음과 동일한 신청 절차를 밟으시면 됩니다.
만약 근무지를 옮긴 경우라면 1년의 유효기간 내라는 전제하에
기존의 건강증명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건증을 처음 발급받는 분들, 기존 보건증의 유효기간이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모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된 보일러 정부지원금으로 교체하는 방법 (0) | 2023.10.04 |
---|---|
LH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 자격은? (0) | 2023.10.01 |
미성년자 주식계좌개설 준비서류는? 10분투자로 복리의 마법 누리기 (0) | 2021.10.10 |
월 10만원 돌려준다~ 코로나 상생소비지원금 받는방법! (0) | 2021.10.01 |
댓글